SIN YOU KYUNG

신유경

b.1984 -

CV


Education

2013  코블렌츠대학 도자 유리 예술학과 석사

2013  린츠예술대학 교환 장학생

2009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도예학과 석사

2007  이화여자대학교 조형대학 도자공예학과 학사


Solo Exhibition

2013  Rueckerinnerung, 린츠예술대학, 린츠, 오스트리아

2010  Ceramic Mural Decoration, 가나아트스페이스



Group Exhibition

2021  도자, 합, 베스터발트 도자박물관, 회어그렌츠하우젠, 독일

2014  Koreanische Keramik made in Germany/독일에서 만든 한국의 도자기, 카지노 갤러리

2014  베스터발트의 도자, 마인츠 문화부 전시장, 마인츠, 독일

2014  <카펜베르크 세계 도자비엔날레 입상전시> 카펜베르크 문화전당, 카펜베르크, 독일

2013   <Albert-Haueisen Pries>, Zigel 박물관, 요크림, 독일

2013  <ZEIT NAH>, 갤러리 B-05, 몬타바우어, 독일

2012  <Talente 2012>, 세계 공예 박람회, 뮌헨, 독일


Awards

2012  프레헨도자공모전(Preistraeger des Frechener Keamikpreis) 수상, 프레헨, 독일

2008  제 2회 대학생황도자전 36.5˚C 입상

2008  관악현대미술전 동상

Biography/Artist Statement

                                                

일상적인 삶을 가득 채우고 있는 물건들에 작가는 한국적인 사물을 재조명 하고 동서양의 만남과 시대와 시대의 만남을 재조명해 본다. 낯선 문화권에서 우리는 일상적이고 평범한 -또는 일상적이고 평범 했었던- 사물을 탐구의 시각으로 관찰하고 이렇게 발견된 사물들은 작가의 손을 타고 새로운 모습으로 탄생한다. 작가의 일상 속에서 남은 이미지는 어떤 감정과 느낌을 그대로 작품에 안긴다. 내가 몸소 익힌 다른 두 문화를 어떻게 나의 도자 작업에 투영해 낼 수 있을까? 이 작품에 담긴 조금은 새롭고 낯선 이야기가 잘 전달 될 수 있을까?


지난 수 년간 여러 이름의 도자를 학업으로서 경험했었다. 한국에서 배운 도자공예와 도자디자인, 그리고 독일에서의 도자조형예술. 그리고 몇 년 간의 휴식기를 통해 조금 멀리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도 있었다. 사실 이 공백기는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필연적이었고,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나에게 기회가 되었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어떻게 표현을 하고 싶은지 오래 생각해 볼 수 있었고 어느새 새로 시작 할 작업에 용감하게 다가 갈 수 있었다.  나는 나의 생각보다 많이 달라져 있었다. 


바뀐 나의 삶과 취향이 새로운 재료를 만나게 하는 설레는 경험을 하게 했다. 상감을 응용한 표면장식이나 어두운 태토 위에 화장토를 바르거나 담그는 등의 전통 분청 기법을 현대적으로 풀어나가는 등의 새로운 시도가 그것이다. 

30대 막바지에 들어선 한국인으로 서양의 문화를 경험하며 도예가이자 어머니로 활동하는 지금의 나는, 현재를 살아가며 변화하는 삶과 도자작업 사이에 맥락있는 감성적 자극을 남기고자 한다.



Among the objects that fill our daily life, the artist re-examines Korean objects and the hybrid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different times of era. With unfamiliar cultural perspectives, observations for explorations are executed on the objects of everyday life and common from the current time and the past, and the objects are recreated through the artist. The impressions created from the artist's daily life convey certain emotions and feelings into the artwork as they are. How can I implement the different two cultures I learned by living in them onto my ceramic work? Can the somewhat new and unfamiliar story contained in the artwork be transferred properly?


Over the past few years, I have experienced ceramics under various titles through academics. Ceramic craft and ceramic design in Korea, and ceramic art in Germany. Furthermore, after a few years of rest, I had an opportunity to perceive them from a bit more objective point of view. Actually, this hiatus was not intentional, but necessary, and although unintentional, it turned out into an opportunity for me. I was able to think for a long enough time about my preferences, the stories I want to tell, and how to express them. Soon after, I had enough courage to start my work as an artist again.

I was a lot different than I thought. My changed life and taste made it an exciting experience to meet new types of medium. Surface decoration with applied inlay or by wearing or soaking engobe on dark clay body, etc., new attempts such as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buncheong techniques in a modern way. 

As a Korean who has entered the last stage of her 30s, I am now working as a ceramic artist and mother while experiencing Western culture. As I live out every moment, my intention is to present meaningful emotional stimulation between my changing life and ceramic work. 


Works


Artpieces of Ceramic   

2021

Ceramic  

16 x 16 x 13.3 cm


Artpieces of Ceramic   

2021

Ceramic  

16 x 16 x 13.3 cm


Artpieces of Ceramic   

2021

Ceramic  

33 x 33 x 7 cm


Artpieces of Ceramic   

2021

Ceramic  

25.5 x 25.5 x 13.5 cm

Installation View

Youkyung Sin

신유경

b. 1984 -

Biography


일상적인 삶을 가득 채우고 있는 물건들에 작가는 한국적인 사물을 재조명 하고 동서양의 만남과 시대와 시대의 만남을 재조명해 본다. 낯선 문화권에서 우리는 일상적이고 평범한 -또는 일상적이고 평범 했었던- 사물을 탐구의 시각으로 관찰하고 이렇게 발견된 사물들은 작가의 손을 타고 새로운 모습으로 탄생한다. 작가의 일상 속에서 남은 이미지는 어떤 감정과 느낌을 그대로 작품에 안긴다. 내가 몸소 익힌 다른 두 문화를 어떻게 나의 도자 작업에 투영해 낼 수 있을까? 이 작품에 담긴 조금은 새롭고 낯선 이야기가 잘 전달 될 수 있을까? 지난 수 년간 여러 이름의 도자를 학업으로서 경험했었다. 한국에서 배운 도자공예와 도자디자인, 그리고 독일에서의 도자조형예술. 그리고 몇 년 간의 휴식기를 통해 조금 멀리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도 있었다. 사실 이 공백기는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필연적이었고,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나에게 기회가 되었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어떻게 표현을 하고 싶은지 오래 생각해 볼 수 있었고 어느새 새로 시작 할 작업에 용감하게 다가 갈 수 있었다.  나는 나의 생각보다 많이 달라져 있었다. 바뀐 나의 삶과 취향이 새로운 재료를 만나게 하는 설레는 경험을 하게 했다. 상감을 응용한 표면장식이나 어두운 태토 위헤 화장토를 바르거나 담그는 등의 전통 분청기법을 현대적으로 풀어나가는 등의 새로운 시도가 그것이다. 30대 막바지에 들어선 한국인으로 서양의 문화를 경험하며 도예가이자 어머니로 활동하는 지금의 나는, 현재를 살아가며 변화하는 삶과 도자작업 사이에 맥락있는 감성적 자극을 남기고자 한다.

- 2021 작가노트중


작업이 똑바르고 정확한 꼴을 못보고 너무 완벽하면 숨이 막힐 것 같은 답답함에 항상 자연스러운, 가장 편한 선을 나는 좋아한다. 가끔은 누가 뭐래도 그냥 내가 좋으면 좋다는 사치스런 생각을 하며 작업하면 그리 행복할 수 없다.

- 2021 작가노트중


아무래도 타지에 사는 한국인으로서 나의 손을 탄 작업들은 그리움이 묻어나지 않았을까 싶다. 한국문화를 보고 배우고 자란 젊은 도예가가 독일이라는 세상 다른 곳에서 이야기하는 나의 도자기. 타 문화에 섞여 살지만 결코 섞여지지 않는 한국적 취향.

- 2022 작가노트중 


흰색은 일반적으로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같은 흰색이라도 그 색의 감정은 오브제의 형태와 공간적 어우러짐에 영향을 받아 다양하게 읽혀진다. 특히 세월의 흔적과 함께 색 바랜 하얀색은 따뜻함과 묘한 색감을 가지고 있음에 어떤 색보다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색이라 마음이 간다. 때문에 아마도 나는 무채색의 범위 안에서 표현되는 흰색을 내 작품에 듬뿍 담아 내고자 애쓰지 않나 싶다.

- 2022 작가노트중 



Among the objects that fill our daily life, the artist re-examines Korean objects and the hybrid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different times of era. With unfamiliar cultural perspectives, observations for explorations are executed on the objects of everyday life and common from the current time and the past, and the objects are recreated through the artist. The impressions created from the artist's daily life convey certain emotions and feelings into the artwork as they are. How can I implement the different two cultures I learned by living in them onto my ceramic work? Can the somewhat new and unfamiliar story contained in the artwork be transferred properly?


Over the past few years, I have experienced ceramics under various titles through academics. Ceramic craft and ceramic design in Korea, and ceramic art in Germany. Furthermore, after a few years of rest, I had an opportunity (?) to perceive them from a bit more objective point of view. Actually, this hiatus was not intentional, but necessary, and although unintentional, it turned out into an opportunity for me. I was able to think for a long enough time about my preferences, the stories I want to tell, and how to express them. Soon after, I had enough courage to start my work as an artist again.

I was a lot different than I thought. My changed life and taste made it an exciting experience to meet new types of medium. Surface decoration with applied inlay or by wearing or soaking engobe on dark clay body, etc., new attempts such as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buncheong techniques in a modern way. 

As a Korean who has entered the last stage of her 30s, I am now working as a ceramic artist and mother while experiencing Western culture. As I live out every moment, my intention is to present meaningful emotional stimulation between my changing life and ceramic work. 2021


My personality cannot stand an artwork that is upright and exact, and feels suffocating when viewing an artwork that is too perfect. And so, I always prefer natural, comfortable lines. Sometimes, no matter what others say, I cannot be happier than working with thoughts that it is good if I like it, a luxurious thought. 2021


As a Korean living in a foreign country, my guess is that my artwork feels nostalgic one way or another. My porcelain is introduced in Germany as a young artist who grew up with Korean culture. The taste of my work is still typical Korean regardless of the foreign culture I live in. 2022


White generally has many meanings, but at the same time, even with the same white color, the emotion of the color is influenced by the artwork’s form and surrounding spatial harmony and read in various ways. Certain type of white that feels faded with traces of time, has a warm and interesting tone, so it is a color that is more attractive to me than any other color. This is probably the reason why I attempt to use the white color variations within the achromatic colors as much as possible for my artwork. 

Works

Installation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