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O EXHIBITION
SYMPOIESIS
January 31 - March 2, 2024
Gallery Kabinett, 2F
Pippa El-kadhi Brown,
Yujin Ju
갤러리 카비넷은 동시대의 새로운 휴머니티에 대해 사유하고 관조하는 두 작가 피파 엘 카디(pipa el-kadi)와 주유진의 2인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의 제목이자 주제인 '심포이에시스(sympoiesis)'는 세계적인 포스트휴머니즘 이론가이자 생물학자, 문화비평가, 테크놀로지 역사가인 도나 해러웨이(Donna J. Haraway)가 '함께'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심(sym)과 '생산하다, 제작하다' 를 뜻하는 포이에시스(poiesis)를 결합하여 고안해낸 개념이다. 인간과 기계, 생명 등 자연(natural)과 인위(artificial)의 이분법에서 벗어나기 위해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고찰해온 해러웨이는 가부장제와 같은 관습적 인간성의 전형에 의문을 던지고 새로운 가능성을 실천하고자 모색한다. 훼손된 행성이라는 비판적 현실 인식에 기초하지만 공감이나 연대의식과 같은 전통적 인간성의 요소들을 다른 자연의 생물종과 마찬가지로 생존을 위한 본질로 두고 이를 공생, 자생의 확장 개념으로 발전시킨 것이 심포이에시스이다. 해러웨이가 구상한 포스트휴머니티의 전위적이면서도 따뜻한 양가성은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두 작가의 화풍에서 달리 변주된다.
먼저 피파 엘 카디는 인간을 둘러싼 실내환경을 일종의 신체로 해석한다. 작품이 띄는 평면성은 근대적으로 분절화된 3차원의 공간을 납작하게 눌러버리고 작품속 대상이 유기체인지 수전인지 알아볼수 없으며, 화분은 손과 같은 제스츄어를 취하고 반대로 인간을 지시하는듯한 형태적 흔적은 그것이 남성인지 여성인지 구분할수 없다. 작가 노트에 의하면, 그들은 파이프를 정맥과도 같고 폐와 같은 창문을 통해 호흡한다고 증언한다. 이렇게 공간을 유기체 또는 유기체의 연장선으로 묘사하는 것은 기계와 인간이 혼종된 사이보그를 떠올려볼수있다. 앞서말한 도나 해러웨이는 사이버네틱스와 오가니즘이 결합된 사이보그에 관해 대중이 매체에서 주로 접하는 일반적인 사이보그 전사 같은 개념을 넘어 인체와 기계가 직접적인 접촉없이도 외적인 결합 역시 사이보그의 형태라고 주장했다. 도나 해러웨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인간의 정의를 모호하게 만들어 유틸리티와 위계의 동일선상에 위치시킨다. 작품에서 이러한 맥락은 회화적 발현을 통해 관찰되기도한다. 피파의 정체없이 서로 낲작하게 눌러붙은 화면은 물질과 비물질, 유기체와 기계, 인간과 동물의 이분법적 경계를 붕괴시키고 재구축한다.
주유진작가는 자신의 자전적 경험과 기억 꿈을 토대로 공감각적 이미지를 떠올리고 회화의 작업과정을 통해 3차원의 환영으로 구체화 시키는 작업을 한다.주유진에게 포스트휴머니티는 멜로드라마적 전형을 지향했던 삶과 일상의 잔영으로 인식된다. 순간, 사랑, 너와 나, 노래와 같은 감상주의적 요소와 소품들은 사실 개인의 기억뿐만 아니라 한 시대나 과거의 낭만적 노스탤지어를 불러일으키는 상관물일뿐이다. 구체적 실체로 등장하지 않는 주유진의 잔영들은 놀랍게도 찬란하거나 따스한 정조를 품고 있는데 이는 아름답게 추억되는 범주 바깥의 망각되고 낯설어지고 끝내 버려지는 순간들이다. 이 타자화된 과거의 그림자들에게 다시 황혼의 색채와 형상을 부여받는 이유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세계관이 비관적이면서도 다원화되어 있으며, 작고 남루하고 의미없는 것들을 다시 돌아보는 따스함의 회복을 촉구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찾을 수 있다.
심포시에시스의 개념에서의 대화방식은 마치 실뜨기와 같다고 이해되는데, 이러한 실뜨기는 서로의 형태를 제시하고 상대의 형태를 제시받으며 신뢰를 토대로 시간을 기다려주는 식의 깊은 관계성이 요구된다. 까비넷이 1월 전시에 선보이는 두 작가 피파와 주유진 또한, 포스트휴머니즘적 그늘 아래서 서로 실뜨기하며 대화한다. 그들이 빚어내는 회화적 정황은 동시대 인간상에 대해 엄중하게 선언하는 심판의 시선이기도 하고, 미생물의 영역에서부터 살피고 양육하는 현미경적 시선으로도 비춰지며 각자의 이면, 나아가 포스트휴머니티로 바라본 동시대의 심상을 탁월하게 포착한다.